As children, we played in the front yard a space where we could linger freely or move naturally into other spaces. It was more than just a place to stay; it was a point of transition, a mediator of relationships and everyday life.
This project proposes an open courtyard within the city, combining the openness of a park with the public nature of a creative performance facility. It is a space where anyone can pause, pass through, or stay freely and intuitively.
A series of programs unfold not only in the small theater, but also in the backyard, rooftop garden, and outdoor stage, transforming the site into an open stage for everyday culture.
The silhouettes cast on the façade hint at unseen movement beyond an invitation to another world. Here, people will encounter moments of pause and connection within the rhythm of daily urban life.
도심 속에서 마당이란 무엇일까?
어릴 적, 우리는 앞마당에서 뛰놀았다. 그곳은 언제든지 머물 수 있고, 또 다른 공간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는 열린 흐름의 장소였다. 마당은 단지 머무는 공간을 넘어, 일상의 전환점이자 관계의 매개 공간이었다.
이번 프로젝트는 대상지가 지닌 공원의 개방성과 창작연극 지원시설이 갖는 공공성을 결합해, 누구나 자유롭게 머물고 이동할 수 있는 도심 속의 열린 마당, 어울림 마당을 제안한다. 소극장뿐 아니라 뒷마당, 하늘정원, 야외 공연장에서 이어지는 다양한 프로그램은 이 공간을 일상의 문화가 오가는 열린 무대로 만든다.
파사드에 투영된 사람들의 실루엣은 공간 너머의 움직임을 암시하며, 다른 세계로 향하는 열린 초대장이 된다. 이곳에서 사람들은 일상 속 잠시 멈춤과 어울림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